P2P대출과 카드론 및 저축은행 금리(이자율) 비교, 직장인(회사원)인 경우 대출신청과 대출금 수급방법, 기간은?
일반인들이 카카오은행의 카카오뱅크의 케이뱅크 예적금상품이나 대출상품에 몰리는 이유가 있습니다. 실제 예금이나 적금금리를 비교해보더라도 약 0.1%대 차이밖에 나지 않습니다. 무슨 0.1%대차이로 직장인, 자영업자 분들이 몰릴 수 있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저금리 시대이기 때문에 오히려 적은 금리는 큰 금리차이로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P2P대출이 엄청나게 규모가 커졌습니다. 케이뱅크나 카카오뱅크처럼 온라인으로 대출이 이루어집니다. 인터넷전문은행처럼 P2P대출의 경우도 대출금리가 제 2금융권인 저축은행보다 저렴합니다.
P2P대출을 받는 다면(대출조건 : 3천만원을 24개월 동안 빌린다면 월 이자는 13만원 연 최저 4.5%대 금리, 원리금균등분할상환방식)
P2P전문업체인 렌딧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이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말씀드리면 매월 상환하는 금액이 아래와 같이 차이가 발생합니다. 저축은행의 경우 월 27만원, 카드론의 경우 19만원입니다. 이에비해 렌딧의 경우 13만원이라 합니다. 저축은행에 비해서 약 절반수준입니다. 다만 P2P대출의 경우에도 신용대출이기 때문에 일반 담보대출에 비해서는 대출금리가 높습니다.
렌딧 대출신청결과
저같은 경우는 중소기업 직장인으로서 신용등급 약 3등급이며, 대출금리는 최저 5.7%로 시작을 했습니다. 대출신청금액 한도는 200만원~3,000만원까지 되었습니다. 아무런 담보를 제공하지 않고 5.7%대 금리라면 일반저축은행 대출보다는 그리고 대부업체 신용대출보다는 아주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P2P 대출 신청절차(렌딧에 회원가입 후에 직장인 기준으로 대출신청시)
렌딧을 통해 대출을 신청하는 절차는 크게 두가지로 구분이 됩니다. 첫번째는 홈페이지 회원가입, 두번째는 대출신청입니다. 아래의 대출신청절차는 제가 직접해보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구분 | P2P 대출신청 절차 |
㉠ 금리,한도조회 | P2P대출을 받고자 하는 기관 홈페이지 방문 확인(최대한도, 최저금리) |
㉡ 회원가입 | 아이디, 비밀번호, 휴대폰번호, 주민등록번호, 이메일번호 등 입력 |
㉢ 대출 신청 | 1.
성명,이메일,휴대폰번호,생년월일,성별,직업,연소득,대출금액,대출용도등 |
㉣ 서류 제출 (온라인) |
1.
신분증사본 앞,뒷면(운전면허증 또는 주민등록증) |
㉤ 최종심사 | 24시간 이내 최종심사 |
㉥ 대출 약정(계약) | 본인 인증>대출 계약 확정>약정 조건>유의사항 유선안내 |
㉧ 대출금 지급 | 계좌사본에 원하는 날자에 입금> 입금후 SMS, 이메일 공지 |
㉨ 상환 | 매달 원리금액 상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