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보험사(저축성보험) 사업비율, 해지공제비율, 만기환급률 및 환급금 비교, 해지공제 없는 저축성보험(온라인, 오프라인)
저축성보험의 사업비 및 해지공제비
저축성보험의 경우 일반 예금이나 적금상품과는 다릅니다. 사업비와 중도해지수수료가 있습니다. 중도해지수수료는 해지공제비라고도 합니다. 사업비의 경우 보험회사별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납부한 보험료의 7.9%~10대 중반입니다. 중도해지수수료의 경우 1년 경과 후 해지할 경우 9%대 초반에서 시작하여 시간의 경과와 함께 줄어들다가 7년을 채우게되면 해지공제비가 사라집니다. 따라서 저축성보험의 경우에는 7년 이상 납부를 해야 합니다.
생명보험사별 사업비율, 해지공제비율, 만기환급률 및 환급금 비교
아래는 보험회사별로 저축성보험의 각종 사업비율, 해지공제비율, 만기환급률, 환급금액을 비교한 표입니다. 미래에셋생명의 경우 최저사업비률이 7.97%로 가장 낮습니다. 가장 높은 곳을 동양생명으로 10.47%입니다. 사업비률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적립률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해지공제비률의 경우는 해지시에 공제하는 금액을 의미하며 위의 경우와 반대로 미래에셋생명이 9.5%로 가장 높습니다. 저축보험 가입시에 생명보험사의 공시실을 통해 아래의 내용을 비교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축성보험은 보험과 저축 두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험의 기능이있기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사업비가 소요가 되고 해지공제비용도 발생합니다. 보험가입 초기(1년경)에 해지할 경우에는 해지공제비가 상당히 높습니다. 해지공제비란' 보험계약을 해지할 경우 보험회사가 보험계약자에게 지급할 환급금에서 보험모집인에게 이미 지급한 계약체결비용(모집수당 등)을 공제하는 것'입니다.
해지공제 없고 수수료, 비용낮은 저축성보험 판매
일부 보험회사에서는 저축성보험에 비해서 수수료나 비용며에서 낮고 해지공제가 없는 상품을 온라인전용 또는 오프라인에서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가입 후에 초기에 해지시 납부한 보험료 대비 100~95%까지도 환급이 가능합니다. 아울러 비용, 수수료도 낮기 때문에 환급률이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해지공제 없는 저축성보험상품
보험사별 | 보험상품 | 판매채널 |
흥국생명보험 | 베리굿(Vari-Good)변액저축보험 | 오프라인 |
한화생명 | Wealth단체저축보험 무배당 | 오프라인 |
삼성생명 | 삼성생명 인터넷저축보험 1.8(무배당) | 온라인 |
미래에셋생명 | 온라인 변액연금보험 무배당1804 | 온라인 |
라이나생명 | 무배당 THE투명한변액보험(거치형) | 오프라인 |
동양생명 | 무배당 수호천사온라인더좋은저축보험 | 온라인 |
농협생명 | 희망동행NH연금보험(무배당) | 오프라인 |
교보생명 | 무배당 교보First변액적립보험 | 오프라인 |
ING생명 | 시작이 다른 변액적립보험(적립형) | 오프라인 |
ABL생명 | ABL생명 무배당 ABL인터넷변액적립보험 | 온라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