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hwp) TIP 77 - 선감추기 보이기, 문단부호, 등 엔터키 보이기숨기기
한글(hwp)작업을 하다보면 줄바꾸기, 그림편집, 표편집, 글자맞추기 등 다양한 편집작업을 합니다. 하단의 문서의 예에서는 문단부호가 없기 때문에 엔터(enter)키를 통한 줄바꿈인지 스페이스바를 통한 줄바꿈인지를 알수 없습니다.
또한 첫글자 맞추기가 제대로 되어 있는지로 눈어림으로만 알수 있습니다. 이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바로 [문단부호]와 [조판부호]를 이용하면 됩니다.
▶ 원본문서(조판부호, 문단부호 없음)
▶ 조판부호, 문단부호 보이기
[보기 - 문단부호, 조판부호 체크]
하단의 문서를 보시면 상단과의 차이가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바로 [엔터키, 글자띠우기, 그림, 표단어]가 들어가 있습니다. 즉 현재의 문서에 이용된 편집도구들이 들어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어디에서 엔터가 되었는지, 글자 우기는 몇칸인지 그림과 표가 어떤 형식으로 들어가 있는 지를 알 수 있습니다.
▶ 투명선 보이기
하단에서 [표그리기를 통해서 가로방향 2개의 칸을 생성을 했습니다. 이때 생성된 칸의 선에 대해 선의 색, 굵기 등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선없음]기능을 선택해서 선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선없음을 통해서 선이 보이지는 않지만 실제 선이 숨겨져 있습니다. 선 안에 텍스트와 사진을 넣어서 편집할 경우에 글자맞춤을 편리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 선없음으로 감추어진 선들은 한글 문서에서 보이지가 않습니다. 이때 선이 보이게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하단에서와 같이 [보기 - 투명선체크] 를 하게 되면 점선으로 감추어진 선이 나타납니다.
[투명선 보이기]를 통해서 아래의 문서의 텍스트가 상하 2개의 표안에 편집이 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쇄시에는 이 선들이 출력물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 눈금자 및 격자보이기
[보기 - 눈금가 - 가로눈금자 - 세로눈금자]
[격자 - 격자보기 클릭]
하단에서는 가로눈금자가 문서 상단부위에 나타나 있습니다. 실제 인쇄될 때 같은 크기(cm)로 출력이 됩니다. 이 눈금자기능을 통해서 현재 가로 및 세로방향의 문서의 크기를 알 수 있습니다.
하단은 [격자보기]가 선택된 모습입니다. 이 격자보기를 통해서 글자의 상하이 위치를 맞출 수가 있습니다. 다만 작업시 격자보기 상태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점 때문에 불편함을 겪을 수가 있기 때문에 작업을 다 한 후에 격자보기를 통해서 글자맞춤을 확인하면 됩니다.